본문 바로가기

교량이야기

삼성, 미래기술육성사업 2014년도 1차 지원과제 선정

(서울=기술사신문) 이태진기자 = 삼성은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의 2014년도 1차 지원 과제로 총 40개 과제를 선정했다.


기초과학 분야에서는 단백질에 기인한 불치병(치매, 알츠하이머 등)의 원인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생체분자 네트워크 연구 등 17건이 선정됐다.


소재기술 분야에서는 신개념 다공성 메타물질을 이용해 아파트 층간 소음을 제거하는 흡차음(吸遮音) 물질 연구 과제 등 10건이 뽑혔다.


ICT(정보통신기술) 창의과제 분야에서는 초음파가 가청(可聽) 음파로 변조되는 현상을 이용하여 이어폰 없이도 특정인에게 원하는 소리를 전달하는 연구 과제 등 13건이 선정되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은 ▲기초과학, ▲소재기술, ▲ICT 창의과제 등 3대 분야에 10년간 총 1조 5천억원을 출연해 국가 미래기술 육성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삼성은 지난해 처음으로 26개 과제를 선정해 연구비를 지원해 오고 있다.


기초과학 심사위원장으로 참여한 서울대 국양 교수는 "약 70여명의 국내 심사위원들이 며칠간 합숙하면서 기본개념을 점검하는 토론을 통해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과제를 선정하도록 최선을 다했으며, 노벨 수상자 등 해외심사에 참여한 해외 석학들도 과제들의 질이 매우 높다는 의견을 피력했다"고 밝혔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과제 심사는 년 2회 진행하고 있으며, 올해 2차 사업은 6월 13일까지 과제를 접수하여 7월에 서면심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선정과제 리스트 (기초과학)

확률 등각 사상 및 확률 정규 행렬의 기하학(서울대, 강남규 교수)
비국소 연산자를 갖는 확률편미분방정식 연구(고려대, 김경훈 교수)
분자 핵간 공간제어를 통한 Nonadiabatic 화학반응 컨트롤(KAIST, 김상규 교수)
대사체-단백질 결합 네트워크에 기반하는 암세포 성장 조절 연구(KAIST, 김세윤 교수)
궤도 각운동량 Dzyaloshinskii-Moriya 상호작용 연구(연세대, 김창영 교수)
에너지 최대 전달 원리 규명 및 완전 무반사 메타물질 개발(고려대, 박규환 교수)
자연광에서 동작하는 메가-비선형성 무지개 물질 연구(KAIST, 신종화 교수)
다기능 상호협동성 촉매반응 연구(이화여대, 이상기 교수)
고압-고분해능-고체 NMR 프로브의 개발 및 비정질 물질의 극한환경하의 원자구조 규명(서울대, 이성근 교수)
장뇌축 (Gut-Brain Axis) 연구(서울대, 이원재 교수)
Site-Specific DNA Mapping by Using Carbene Probe(울산과기대, 이현우 교수)
전자구조 및 최적화 계산을 통한 특정 물성을 갖는 신물질 디자인 연구(KAIST, 장기주 교수)
질병 유발 단백질의 세포간 감염 및 전달(서울대, 정용근 교수)
Ultrafast Intercellular and Bulk Water Dynamics (고려대, 조민행 교수)
다체계 시스템의 확률/갇힌 매질하에서의 역동성 연구(서울대, 하승열 교수)
생체분자 네트워크 연구를 위한 Fluctuating Thermodynamics 분야 개척(숙명여대, 함시현 교수)
N-말단 포밀레이션 단백질 분해 경로 연구(포스텍, 황철상 교수)


■ 삼성미래기술육성재단 선정과제 리스트 (소재기술/ICT)

공융 결정화(Eutectic Crystallization) 를 이용한 고분자 단결정소자 개발(한양대, 강영종 교수)
조절된 열팽창계수를 갖는 투명 고내열 유기고분자의 합성과 유연 전자소자 응용(KAIST, 김상율 교수)
스큐 메타포러스 흡차음 물질 연구(서울대, 김윤영 교수)
효율 50% All-2D-Nitrides UV 에미터(포스텍, 김종규 교수)
새로운 양이온 저장 메커니즘을 갖는 에너지 저장용 스마트 전극소재 개발연구(성균관대, 김지만 교수)
단백질 기반 플래시 메모리(건국대, 김진태 교수)
Net-Drone: Drone Fleet 기반 네트워킹 인프라(고려대, 김황남 교수)
인공생체 시스템 구현을 위한 펩타이드 하이브리드 재료 개발(서울대, 남기태 교수)
Private Audio Communication System(포스텍, 문원규 교수)
리소그래피 기반 마이크로-에너지 저장소재/소자 개발(서강대, 문준혁 교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박테리아와 전자기 제어가 융합된 hybrid 마이크로 로봇(전남대, 박석호 교수)
새로운 뇌 영상 Modality “Neuronal Resonance MRI”개발(KAIST, 박성홍 교수)
심초음파 유도 방식이 적용된 로봇 심폐 소생술 장비의 개발(서울대, 서길준 교수)
영상기반 반투명 물체 3차원 복원 기술 개발(국민대, 윤상민 교수)
재귀반사 기반의 비분광식 바이오 센서 플랫폼(아주대, 윤현철 교수)
탄소 양자점 발색단의 화학적 조절과 발색 기작 연구(포스텍, 이시우 교수)
백스캐터 접속형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고려대, 이원준 교수)
NW+NQD+SP 기술에 의한 RGB 및 White Nanowire LED-on-Si  개발(전북대, 이철로 교수)
분자기반 인공지능이 가능한 DNA 컴퓨팅 응용기술 연구(서울대, 장병탁 교수)
전파와 빛의 경계영역인 테라헤르츠 대역 단일톤 신호원 연구(광주과기원, 장재형 교수)
바이오몰레트론으로 구성된 생물전자소자 플랫폼 개발(서강대, 최정우 교수)
안질환용 원격 헬스케어를 위한 스마트 렌즈(포스텍, 한세광 교수)
조 단위 규모의 초대용량 그래프 처리 엔진(포스텍, 한욱신 교수)


■ 주요 과제 소개

[기초과학] 과제명 : 생체분자 네트워크 연구를 위한 Fluctuating Thermodynamics 분야개척 

단백질은 구조에 의해 기능이 결정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실제 생체 내 단백질의 약 50%는 특정한 형태를 가지지 않는 무정형 단백질이며 이들의 역할, 영향 등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암, 치매, 당뇨 등 많은 질병에 무정형 단백질이 핵심적 역할을 함에 따라 무정형 단백질을 연구할 수 있는 방법과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무정형 단백질을 연구할 수 있는 독창적 기술을 바탕으로 단백질 기능을 규명하고 조절하는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함시현 교수는 세계최초로 치매 단백질의 응집 과정을 규명하였으며('12), 단백질 응집 현상의 원인으로 단백질과 물의 상호 작용을 제시('14)하는 등 단백질 관련 질환의 원인 규명을 위한 연구에 정진하고 있다.

새로운 이론을 기반으로 한 단백질 거동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단백질체 연구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세우며, 단백질에 기인한 난치병의 원인 및 해결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중요한 결과가 도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자명 ; 함시현 교수 (숙명여대) 
나 이 ; 1969년생, 45세 
전문 분야 ; 물리유기화학, 전산화학 
학력/경력 ; 숙명여대 화학 학사 ('91), 美 텍사스공과대학교 화학 박사 ('98),  [現] 숙명여대 화학과 교수


[소재기술] 과제명: 스큐 메타포러스 흡차음 물질 연구

최근 아파트 층간 소음문제가 방화, 살인 등 사회 문제로 대두되는 등 소음과 진동 이슈는 삶의 질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 문제이다. 그러나, 제대로 된 소음 차단과 흡수를 위해서는 고성능 흡음재를 두껍게 설치해야 해서, 공간적 제약과 경제적 비용 문제 등이 발생해왔다.

김윤영 교수는 신개념 다공성 메타물질을 이용해 음파의 진행경로를 제어함으로써, 소음 사멸시간을 길게 증가시키는 "Wave Skew" 라는 획기적 개념을 제안하였다. 이 소재가 개발된다면 광대역 소음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국내 건축산업의 경쟁력 향상뿐 아니라 사회적인 소음 문제해결에도 큰 기여가 가능할 것이다.

김 교수는 에너지 소산(消散) 현상과 파동 특이현상 융합분야의 국내외 최고 전문가로, 최근 5년간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하는 등 활발한 연구를 하는 중견 연구자이다.

연구자명 ; 김윤영 교수 (서울대) 
나 이 ; 1959년, 55세 
전문 분야 ; 물리유기화학, 전산화학 
학력/경력 ; 서울대 기계설계학과 학사('81), 서울대 기계설계학과 석사('83), 스탠포드대 기계공학과 박사('89),  [現]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現] 서울대 정밀기계설계 공동연구소 소장


[ICT 창의과제] 과제명 : Private Audio Communication System

특정 사람에게만 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초소형 음향 시스템이 개발된다면 스마트폰에 적용하여 개인 맞춤형 음성 서비스 등 다양한 Private 음성서비스가 창출될 것이며, 특정 상품이나 광고판 근처에 설치하면 그 주변에 머무르는 잠재적 고객에게만 들리는 맞춤형 Private Marketing도 가능할 것이다.

본 과제는 높은 방향성을 가진 초음파가 공기 중에서 자연적으로 가청(可聽)음파로 변조되는 현상(natural demodulation)을 이용하여 헤드폰 또는 이어폰 없이도 특정 사람에게만 원하는 소리를 전달시키는 초지향성 음향 시스템을 개발하는 도전적이고 임팩트 있는 연구이다.

연구책임자인 문원규 교수는 음향시스템, 압전박막 음향소자를 꾸준히 연구해왔으며, 2011년 대한민국 발명특허대전 '전국경제인연합회장상'을 수상하는 등 연구력과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는 음향 분야의 중견급 연구자이다.
연구자명 ; 문원규 교수 (포스텍) 
나 이 ; 1961년생, 53세 
전문 분야 ; 음향시스템 설계/측정, 압전박막소자 
학력/경력 ;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학사('84), KAIST 기계공학과 석사('86), 美 텍사스 오스틴大 기계공학과 박사 ('95), [現]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 ('98~)







 

▲ (사진제공=삼성) 함시현 교수

 

  
▲ (사진제공=삼성) 김윤영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