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썸네일형 리스트형 종이 한 장으로 구제역 조기 진단 가능해진다 지난 2010년 11월 말 경북 안동에서 시작돼 이듬해 4월 초까지 전국으로 퍼졌던 구제역파동은 직접적인 피해액만 3조원으로 추산되며 경제 전반에 미친 파급효과는 5조원 이상이라는 분석도 있다. 구제역과 같은 전염성 강한 질병을 현장에서 즉시 진단할 수 없기 때문에 피해가 확산될 가능성이 높다. 의심신고가 들어오면 시료를 채취해 전문기관에서 분석하는 데만 2~3일 걸린다. 그 사이 바이러스는 걷잡을 수 없이 퍼진다. 구제역, 조류독감, 신종플루 등 전염성이 강한 질병 진단을 위한 바이오센서를 저렴한 가격에 만들 수 있게 됐다.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정기준·임성갑(41) 교수 공동연구팀은 종이나 비닐 등 다양한 물질에 항체를 고정하는데 성공해 보급형 바이오센서개발에 필요한 원천기술을 확보했다. 연구결과.. 더보기 암과 노화 극복의 실마리 제공, 활성산소 세포반응 원리규명 ▲ (이미지제공=KAIST) 연구 개요도. (A, B) 낮은 농도의 활성산소에 대해서는 세포 증식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ERK가 높은 활성도를 보이는 반면, 높은 농도의 활성산소에 대해서는 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단백질인 JNK가 높은 활성도를 보인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실험 결과는 ERK와 JNK가 활성산소의 농도에 따른 상반된 세포 반응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C) 대규모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MLK3을 매개하는 양성피드백 회로와 MKPs를 통한 ERK와 JNK 간 상호소통이 활성산소의 농도에 따른 ERK와 JNK의 상반된 활성화를 일으키는 핵심회로임을 밝혀내었다. (D) MLK3을 매개하는 양성피드백회로는 활성산소에 대한 ERK와 JNK 경로 간의 신호흐름 균형을 조절.. 더보기 아시아 최대 대학생 국제회의 'ICISTS-KAIST 2014' KAIST 학생단체 아이시스츠(ICISTS,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the Integration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는 오는 8월 4일(월)부터 8일(금)까지 KAIST와 대전 유성구 도룡동 호텔 ICC에서 아시아 최대 대학생 국제회의 ‘ICISTS-KAIST 2014’을 개최한다. 참가를 원하는 대학생은 2일부터 내달 11일까지 홈페이지(www.icists.org)를 통해 접수하면 된다. 올해 행사의 주제는 ‘과학이 발전을 이끄는가?’로 최근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과학기술의 양면성을 다루게 된다. 다양한 행사 구성을 통해 학문 간 융합에 대한 폭넓은 시각과 조화로운 가치관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경과 배경을 뛰어넘는 인적 네트워.. 더보기 40배 높은 효율 나노발전기 개발 성공 ▲ (이미지제공=KAIST) 레이저 박리 기술로 제작된 대면적 형태의 나노발전기 이미지(논문표지) ▲ (사진제공=KAIST)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대전=기술사신문) 황병국기자 = 아주 작은 움직임으로도 전기를 생산하는 나노발전기가 개발됐다. 몸에 붙이고 다니면 충전되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전력원 등 다양한 활용이 기대된다. KAIST 신소재공학과 이건재 교수팀은 레이저 박리 전사기술과 유연한 압전박막 소재를 활용해 기존보다 약 40배 높은 효율을 갖는 나노발전기 개발에 성공했다. 연구결과는 세계적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Advanced Materials)’ 4월 23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 나노발전기는 유연한 나노소재에 미세한 압력이나 구부러짐이 가해질 때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는 기술이다. .. 더보기 무선전력전송 세계 최장거리 신기록 세워 ▲ (사진제공=KAIST) KAIST 유레카관 실험실에 설치된 200W급 DCRS. 5m 거리에서 LED TV를 켤 수 있다. ▲ KAIST 임춘택 교수 (대전=기술사신문) 황병국기자 = 무선으로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에서 세계 최장거리 신기록이 나왔다. 향후 충전할 필요 없이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 전자기기 시대가 열릴 것으로 보인다. KAIST 원자력및양자공학과 임춘택 교수는 다이폴 코일 공진방식(DCRS, Dipole Coil Resonance System)을 사용해 5m 떨어진 곳에 209W(와트)를 무선으로 전송하는데 성공했다. 5m 거리에서 스마트폰 40대를 동시에 충전하거나 선풍기 5대를 켤 수 있으며 초대형 LED TV까지도 켤 수 있다. 장거리 무선전력 전송기술은 지난 2007년 미국 M.. 더보기 사용자 참여형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 개발 (대전=기술사신문) 황병국기자 = KAIST 전산학과 한동수 교수 연구팀이 무선랜 신호를 기반으로 한 사용자 참여형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인 ‘카이로스(KAILOS, KAIST Location System)’를 개발했다. 크라우드소싱(대중을 제품이나 창작물 생산 과정에 참여시키는 방식)을 활용한 ‘카이로스’는 사용자가 인터넷 홈페이지와 스마트폰 앱을 통해 건물과 무선랜의 정보를 입력하면 전 세계 어디서나 간편하게 실내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그동안 실내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다양한 최첨단 IT 기술로 각각 다른 회사가 이벤트성으로 구축하는 경우가 많았다. 건물마다 만들어진 실내 내비게이션 앱이 다르기 때문에 사용자들은 대형건물이나 지하철 역 등 장소.. 더보기 미래과학기술지주(주) 법인설립 및 김영호 CEO 선임 완료 (광주=기술사신문) 유옥 기자 = 과기특성화대학이 공동으로 설립하는 기술지주회사인 미래과학기술지주(주)가 지난 19일 법인설립 및 CEO 선임 절차를 완료했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과학기술원(총장 강성모, KAIST), 광주과학기술원(총장 김영준, 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총장 신성철, DGIST), 울산과학기술대학교(총장 조무제, UNIST)는 과기특성화대학 공동 기술지주회사 설립 절차를 지난 19일 완료하였다고 밝혔다. 과기특성화대학 공동 기술지주회사의 회사명은 과기특성화대학의 우수 기술을 활용하여 세계적인 기술벤처를 육성하고 한국 경제의 신성장 동력을 창출한다는 의미에서‘미래과학기술지주(주)(영문명: Mirae Holdings,Ltd.)’로 확정했다. 미래과학기술지주(주)는 각 .. 더보기 KAIST, 지능형 로봇대회 ‘SoC 로봇워’ 개최 지능형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SoC 드론’종목이 추가돼 눈길 (대전=기술사신문) 황병국기자 = KAIST는 오는 8월 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로봇융합페스티벌’과 10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국제로봇콘테스트’에 참가해 ‘지능형 SoC 로봇워’대회를 두 차례 개최한다. SoC(System on Chip)로봇이란 하나의 칩에 프로세서, 메모리, 주변장치, 로직 등 시스템 구성요소를 통합해 원격조종 없이도 사물을 스스로 인식하고 판단할 수 있는 로봇이다. 올해로 13회째를 맞는 이번 대회에는 기존의 '태권로봇'과 '휴로(HURO)-경쟁' 부문 외에 지능형 무인항공기를 이용한‘SoC 드론’종목이 추가돼 눈길을 끈다. 태권로봇 부문은 우리나라 전통 무술인 태권도를 지능형 로봇에 접목해 태권도처럼 일대일 대련.. 더보기 모델 촉매 시스템을 이용한 스필오버 현상 규명 새로운 메커니즘의 상업촉매 개발을 위한 원천기술 확보 (대전=기술사신문) 황병국기자 = 1960년대 초 발견된 이래 오늘날까지도 학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물리학적 현상이 KAIST 연구진에 의해 세계 최초로 규명됐다. KAIST(총장 강성모) 생명화학공학과 최민기(34) 교수팀은 비결정질 알루미노실리케이트 내부에 백금이 선택적으로 위치한 모델 촉매 시스템을 개발해 ‘스필오버(spillover)’ 현상을 규명했다. 연구 결과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25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다. 스필오버 현상은 백금과 같은 금속 표면에서 활성화된 수소원자가 촉매 표면으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을 이용하면 높은 활성과 안정성을 갖는 촉매를 설계하는데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믿.. 더보기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