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엔지니어

[턴키 기획] 4. 비리와 담합의 온상 턴키제도 개선시급 이 기사는 기술in에 2016년 12월 올라온 기사입니다..턴키란 열쇠(key)를 돌리면(turn) 모든 설비가 가동되는 상태에서 발주처에 시설을 인도하는 방식의 발주방식이다. 수주사가 설계는 물론 시공, 시운전까지 맡아 진행하는 설계-시공 일괄방식을 말한다.턴키(설계시공일괄입찰) 제도는 우리나라에는 1990년대 도입되어 엔지니어링 산업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입찰제도의 선진화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당시 수천억원 대의 사업이 엔지니어의 순수기술력만으로 당락이 결정되었기 때문에 턴키엔지니어의 위상과 대가는 높았고, 능력있는 엔지니어들이 대거 턴키설계에 참여했다.이런 턴키전성시대는 2000년대 초반 시공사의 로비력이 강화되면서 무너졌다. 또한, 설계 대비 가격 점수 비중이 ‘90대 10’수준에서 ‘55대 .. 더보기
[턴키 기획] 3. 기술력보다 로비력으로 승부... 턴키와 대안입찰은 사회기반 시설물 건설에 민간의 창의적인 기술을 도입하여 설계기술을 발전시켜 국제경쟁력을 확보하자는 취지에서 시행된 제도이다. 지난 1990년대 후반 본격적으로 시행돼 해상교량, 장대터널, 항만 등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시설물들이 이 방식으로 발주됐다. 발주자가 설계를 끝내고 시공을 별도로 발주하는 것이 아니라 시공사가 설계와 시공을 같이하는 형태로서, 시공사끼리 설계 경쟁을 하는 형태이다. 실제 턴키·대안은 설계 경쟁으로서 국내의 경우 시공사의 설계력이 떨어져 시공사가 직접 설계를 하는 것이 아니고, 몇몇 설계사에게 외주를 주는 시스템으로 운영하고 있다. 특히 턴키·대안 발주가 고난이도 공정으로 설계능력에 큰 비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심의위원 로비에 의해 당락이 결정되고 있다. .. 더보기
[턴키 기획] 2. 원양어선을 탄 근로자같다. ※ 이 기사는 2016년에 기술인신문에 실린 기사입니다. "빡세게 일하는 것 자체가 원양어선이고, 돈 쓸 시간 없는 것도 함께 배를 탄 동료 외 아무도 만날 수 없다." 지난 2008년 11월에 공공노조 전국건설엔지니어링지부(이하 건엔노)에서 발표한 '합사노동자 실태조사결과'를 보면 1주일에 100시간을 초과하여 근무하는 합사 엔지니어가 전체 설문자의 10%에 육박한다고 발표했다. 이어 주당 81시간에서 100시간 사이 근무한다는 합사엔지니어는 32.2%, 61시간에서 80시간 사이는 30.4%로 나타났으며, 주당 60시간 이상 근무하는 엔지니어가 72.5%로 나타났다. 근로기준법이 정한 주40시간을 1일 8시간 주5일 근무로 보면, 60시간은 하루에 4시간씩 주중 5일을 야근을 하거나 주말 이틀을 출근.. 더보기
[턴키 기획] 1. 엔지니어의 무덤 합사. / 기술인 건설기술인 토목 건축 전기 신문 엔지니어링 엔지니어 합사의 고강도 근로에 쓰러지는 엔지니어들.... 턴키를 위해 합사에 나가있던 한 엔지니어가 야근 중 쓰러져 의식불명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엔지니링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시공회사인 P사와 함께 합사를 꾸려 설계업무를 진행하던 "A"사 임원이 지속적인 야근에 화장실에서 쓰러져 구급차에 실려 병원에 도착했으나 생명이 위독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엔지니어링 업계에서는 합사근무로 인한 엔지니어들의 과로사가 일상화되어 있다. 알려진 바로는 1년에 한두건의 과로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한 엔지니어는 "한두명만 사망했다는 것은 합사의 근로 강도에 비해 엄청 적은 숫자"라고 말하며, "한번 합사에 들어갔다 나오면 모든 체력이 고갈되는 것을 느낀다"고 말했다. 새벽 4시에도.. 더보기
여성기술사, 최고의 기술력으로 안전 대한민국 만들기! 한국기술사회 여성위원회(위원장 김숙자)는 지난 7월 18일(토) 사회복지법인 대한불교조계종사회복지재 단(대표 이경식)이 운영하는 보문종합사회복지관(대전시 중구 소재) 시설물 점검을 실시했다. ▲ (사진=조재학 기자) 한국기술사회 여성위원회와 대전시 중구청간 취약계층시설 안전점검 지원 협약 기념사진 보문종합사회복지관은 2011년 2월에 준공됐으며, 지상 3층에 대지면적 3645㎡, 건축면적 4398㎡ 규모로 이날 점검에는 김숙자 위원장을 비롯한 20여 명의 각 분야 여성기술사들이 참여했다. 특히 이날 참여한 여성기술사들은 토목, 건축, 안전, 전기, 소방, 조경, 식품 등 각 분야별로 수질 맟 대기질 검사, 소방·전기·가스안전, 시설물 상태, 등 안전점검 체크리스트에 따라 세심한 점검을 진행했다. 또한 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