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통지 받은 이용자는 전용백신으로 치료해야
(서울=기술사신문) 박승우 기자 =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초고속인터넷 가입자의 약 90%까지 "악성코드 감염PC 치료서비스"를 제공한다고 19일 밝혔다.
KISA은 보다 효과적인 서비스구축을 위해 감염PC 치료서비를 제공하는 인터넷서비스사업자를 3개사에서 7개사로 확대해 그 수혜대상이 66.1%에서 89.5%로 증가했다고 말했다.이 서비스는 "2011년에 KT, SK브로드밴드, 티브로드 등 3개사가 먼저 시작했고, 지난해 12월에는 LGU+ 그리고 최근에 CJ헬로비전, C&M, 현대HCN이 개시"했다고 설명했다
박정환 KISA 침해사고탐지팀장은 “지역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 등에도 악성코드 감염PC 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협력을 확대하여, 더 많은 인터넷이용자들이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악성코드 감영 PC치료서비스는 "인터넷에 접속하는 이용자 PC의 악성코드 감염여부를 진단하여, 팝업창을 통해 감염사실을 통보하고 전용백신을 보급" 하는 서비스이다.
'교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HD급 수술장면 생중계, 원격 수술 참여한다. (0) | 2014.02.21 |
---|---|
증강현실로 스마트시대의 미래를 열다! (0) | 2014.02.21 |
부산, 북항재개발사업 친수공원 국제현상설계 공모 (0) | 2014.02.20 |
동남아시아 변화의 핵 미얀마 - 1 (0) | 2014.02.19 |
삼성엔지니어링, 알제리 티미문(Timimoun) 가스전 개발 프로젝트 계약 (0) | 2014.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