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KCA, 방송기술·무선통신관련 NCS 개발기관 선정 ▲ 전남 나주 빛가람혁신도시로 이전한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나주=기술사신문) 박승우 기자 =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이하 KCA)이 방송기술과 무선통신구축에 대한 국가직무능력표준 개발기관으로 선정됐다. KCA는 지난 8일부터 14일까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된 국가직무능력표준(이하 NCS) 개발기관 선정평가에서, 방송기술과 무선통신구축분야 6개 직무의 개발기관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 기관은 지난 2010년부터 전파·방송·통신분야의 정보통신기술사 등 총 16개 종목의 국가기술자격검정 업무를 수행한 기술인력양성 전문기관으로서 그간 기술자격검정업무를 통해 축적한 자격분야 전문성을 이번 NCS 개발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한 KCA 기술자격본부 김용섭 본부장은 “이번 NCS 개발을 통해 ICT분야 .. 더보기
세계 에너지 효율 개선 시장, 2023년 1,275억 달러 전망 (서울=기술사신문) 이태진기자 = ㈜글로벌인포메이션은 Navigant Research에서 “세계의 상업 및 공공 빌딩용 에너지 효율 개선 시장 분석과 예측” 보고서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주거 및 상업용 빌딩은 세계 전체 에너지 소비 중 35~40%를 차지하고, 특히 상업용 빌딩의 냉난방 공조설비(HVAC), 조명, 온수 난방 및 기타 빌딩 시스템은 막대한 에너지를 소모한다. 에너지소비와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려는 노력으로 상업 및 공공 빌딩 에너지 효율 개선 제품의 설치가 증가하고 있다. 본 보고서에 따르면 세계 에너지 효율 개선 시장 매출은 2014년 682억 달러에서 2023년 1,275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Navigant Research의 수석연구원 Eric Bloom은 “기존의 빌딩들이 새로.. 더보기
실시간 헬스 모니터링하는 얇은 스티커형 무선 센서 개발 ▲ (사진제공=KISTI 미리안) 헬스 모니터링 스티커형 무선 스티커형 센서(서울=기술사신문) 이태진기자 = 피부와 함께 움직이고 늘어지면서도 상업용 기성제품 칩에 기반을 둔 전자장치와 통합되는, 얇은 스티커형 무선 헬스 모니터링 시스템 실증화시험에 성공했다. 일리노이즈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캠퍼스와 노스웨스턴 대학교에서 개발된 이 패치는 일회용 문신처럼 피부에 달라붙고, 접힌 와이어를 가진 미세유체 구조체에 통합될 수 있어서 굳은 전자장치 부품에 결박되지 않더라도 구부러지는 것이 가능하다고 알려졌다. 이 패치는 휴대전화기나 컴퓨터에 무선으로 업데이트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정기적인 헬스 모니터링에 사용될 수 있고, 와이어, 패드 또는 테이프가 불필요하기 때문에 심전도(EKG, Electrocardiogra.. 더보기
BIPV(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유리 시장 성장 전망 ▲ BIPV 유리의 8년치 시장 예측 정보(서울=기술사신문) 이태진 기자 = 글로벌인포메이션은 NanoMarkets에서 “BIPV(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유리 시장” 보고서를 발행했다고 밝혔다. NanoMarkets의 최신 보고서 “BIPV(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유리 시장”에 따르면 BIPV 유리 시장은 2014년 82,300만 달러에서 2019년 27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2021년 BIPV 유리 출하는 760만 m2 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된다. 고급 빌딩은 BIPV 유리가 압도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곳으로 2014년 BIPV 유리 매출의 90%를 차지할 것이다. 그러나 BIPV 유리는 제로 에너지 빌딩을 가능하게 하는 주요 기술이고 미국과 유럽에서 의무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수가 증가.. 더보기
전기전도도 향상시킨 인쇄형 플라스틱 투명전극 개발 - 황산 이용 고효율 전도성 플라스틱 박막 제작…Advanced Materials 표지논문 ▲ (사진제공=지스트) 왼쪽으로 부터 이광희 교수, 이성호 박사, 김나라, 기세영 박사과정 연구원 (광주=기술사신문) 유옥 기자 = 국내 연구진이 기존 투명전극(1)의 한계를 극복할 최고 전기전도도를 갖는 인쇄형 플라스틱 투명전극을 개발했다. 저렴한 황산을 이용한 간단한 용액공정으로 투명전극에 쓰일 전도성 플라스틱 박막을 만들 경우 향후 휘어지는 전자소자의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지스트(GIST·광주과학기술원) 신소재공학부 이광희 교수와 차세대에너지연구소 이성호 박사(공동 교신저자)가 주도하고, 신소재공학부 김나라, 기세영 박사과정 연구원(공동 제1저자)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