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제공=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진은 지난 4일까지 스위스 제네바 ITU회의장에서 개최된 패킷전달망 보호절체기술과 관련된 국제표준화 회의 장면
(대전=기술사신문) 황병국기자 = 최근 통신용 전달망은 가격 경쟁력이 있는 패킷기술의 발전에 따라 기존 회선기반 전달망에서 패킷기반 전달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통신 케이블이 끊기거나 스위치, 라우터와 같은 통신장비가 고장나면 전화, 인터넷, 이메일 등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
그동안 이처럼 패킷 통신망에 문제가 생기면 복구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길게는 수초가 걸렸는데 이를 단 0.05초(50msec)이내에 복구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어 국제표준으로 선정되는 쾌거를 이뤄냈다.
ETRI(한국전자통신연구원, 원장 김흥남)는 국제전기통신연합인 ITU-T에서 연구진이 확보한 MPLS-TP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 Transport Profile : 다중 프로토콜 레이블 스위칭 – 전송 프로파일) 보호절체 기술이 지난 4일, 단일 국제 표준으로 채택되었다고 10일 밝혔다.
'패킷 전달망' 이란 기존 회선기술 기반 전달망과 동일한 서비스 품질 및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는 패킷기술 기반 전달망을 의미한다.
또 '보호절체기술' 이란 사용중인 망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우회경로를 통해 트래픽을 복구하는 기술이다.
본 기술은 데이터를 끊김 없이 꼭 전송해야 하는 긴급한 수술시의 컴퓨터의 사용이나 증권시장, 외환시장 등에 통신장애를 최소화 할 수 있어 통신사업자나 장비업체에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실제, 영국의 경우 증권망에서 몇 초의 장애로 인해 엄청난 손해를 불러 일으킨 사례가 있으며 영국통신사에서 밀리미터초(msec) 단위의 통신보장이 되는 전용망이 나오자 2009년 10대 히트상품에 선정될 정도의 반향을 일으킨바 있다.
ETRI는 본 기술이 대도시를 연결하는 전달망과 또 전화국에 이르는 메트로망까지 사이에서 통신장애시 긴급 복구가 가능한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ETRI는 그동안 IETF(인터넷국제표준화기구)와 ITU-T가 주장하는 국제표준안이 서로 달라 문제였는데 이를 단일표준으로 주도했고 이들의 장점을 살려 융합해 해결책을 도출, 표준제안을 통해 국제표준화를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국제 단일 표준 완성은 IETF 문서 및 ITU-T 표준 문서의 에디터쉽을 ETRI가 모두 확보한 상태에서 독보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ETRI는 이번 표준이 단일 국제표준으로 추진됨에 따라 관련 통신망 장비와 망사업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핵심 IPR을 보유하고 있는 ETRI를 통해 국내 통신 장비 업체들도 글로벌 시장에서 주도권을 획득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고 설명했다.
김흥남 ETRI 원장은 "그동안 유선망 장비는 글로벌 장비업체가 주도권을 갖고 시장을 움직였는데 이번에 국내 연구진에 의해 핵심 IPR로 국제표준을 완성한데 큰 의미가 있다" 고 말했다.
한편, 글로벌 시장조사 기관인 IDC가 발표한 최근 자료에 따르면, MPLS-TP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캐리어이더넷 장비 시장은 지난해 약 84억 달러 규모로 연평균 8.53% 의 고성장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 오상진 과장은 "국제 표준 채택은 거의 모든 패킷 전달망 및 캐리어이더넷 장비에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핵심 기술을 확보한 셈이다. 정부는 앞으로도 국제 표준 채택을 통한 핵심 기술의 IPR 확보에 지원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본 기술은 그동안 ITU-T와 IETF가 공동으로 표준화 작업을 시작했으나, MPLS-TP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OAM(망 장비 제어 및 관리) 기술 표준화에서 갈등을 빚어, 결국 지난 2012년 WTSA(세계전기통신표준화총회) 회의에서 양측 솔루션이 모두 승인되어 복수 국제표준이 만들어지는 등 국제 표준화의 뜨거운 이슈로 논란이 많았다.
이번에 국제표준으로 완성된 보호절체 기술은 미래창조과학부의 '차세대 광 전달망 구축을 위한 테라급 광-회선-패킷 통합 스위칭 시스템 기술 개발' 을 통해 개발되었다.
'교량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전도도 향상시킨 인쇄형 플라스틱 투명전극 개발 (0) | 2014.04.24 |
---|---|
에너지와 식수 얻기, 우주비행사의 소변 재활용 기술 (1) | 2014.04.23 |
스마트 에코 주택, 열관리로 에너지 소비 제로 (0) | 2014.04.21 |
삼성 기어, 갤럭시 스마트 기기 16종과 연동 (0) | 2014.04.21 |
삼성엔지니어링, 쿠웨이트서 정유 플랜트 계약 (0) | 2014.04.18 |